반응형
10807번: 개수 세기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있다.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-100보다 크거
www.acmicpc.net
문제
총 N개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, 정수 v가 몇 개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있다.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-100보다 크거나 같으며, 100보다 작거나 같다.
출력
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N개의 정수 중에 v가 몇 개인지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111 4 1 2 4 2 4 2 3 4 4 2 |
예제 출력 13 |
예제 입력 2111 4 1 2 4 2 4 2 3 4 4 5 |
예제 출력 20 |
파이썬 풀이
파이썬은 list, 혹은 string 자료형에서 사용 가능한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.
해당 함수는 이름과 같이 해당 자료형 안에 함수에 입력된 인자가 몇 개 존재하는지 리턴해준다.
input() # n은 사용하지 않는다.
print(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.count(int(input())))
자바 풀이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 throws Exception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 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 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v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int r = 0;
for (int i=0; i<n; i++) {
if 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 == v) {
r += 1;
}
}
bw.write(Integer.toString(r));
bw.flush();
}
}
반응형
'알고리즘 연습 > 기초 (입출력 등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🥉2 / 백준 2745 / 파이썬] 진법 변환 (0) | 2021.10.28 |
---|---|
[🥉3 / 백준 10990 / 파이썬] 별 찍기 - 15 (0) | 2021.10.26 |
[🥉2 / 백준 15552 / 파이썬, 자바] 빠른 A+B (0) | 2021.10.19 |
[🥉3 / 백준 10992 / 파이썬] 별 찍기 - 17 (0) | 2021.10.19 |
[🥉4 / 백준 10101 / 파이썬] 삼각형 외우기 (0) | 2021.10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