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 연습/큐, 덱

[🥈3 / 백준 24511 / 파이썬] queuestack

김세진 2023. 8. 24. 00:37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24511번: queuestack

첫째 줄에 queuestack을 구성하는 자료구조의 개수 $N$이 주어진다. ($1 \leq N \leq 100\,000$) 둘째 줄에 길이 $N$의 수열 $A$가 주어진다. $i$번 자료구조가 큐라면 $A_i = 0$, 스택이라면 $A_i = 1$이다. 셋째 줄

www.acmicpc.net

 

 

문제

한가롭게 방학에 놀고 있던 도현이는 갑자기 재밌는 자료구조를 생각해냈다. 그 자료구조의 이름은 queuestack이다.

queuestack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. 번, 2번, ... , 번의 자료구조(queue 혹은 stack)가 나열되어있으며, 각각의 자료구조에는 한 개의 원소가 들어있다.

queuestack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.

  • 을 입력받는다.
  • 을 1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 1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. 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 한다.
  • 을 2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 2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. 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 한다.
  • ...
  • 번 자료구조에 삽입한 뒤 번 자료구조에서 원소를 pop한다. 그때 pop된 원소를 이라 한다.
  • 을 리턴한다.

도현이는 길이 의 수열 를 가져와서 수열의 원소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 queuestack에 삽입할 것이다. 이전에 삽입한 결과는 남아 있다. (예제 1 참고)

queuestack에 넣을 원소들이 주어졌을 때, 해당 원소를 넣은 리턴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
 

 

입력

첫째 줄에 queuestack을 구성하는 자료구조의 개수 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00,000)

둘째 줄에 길이 의 수열 가 주어진다. 번 자료구조가 큐라면 , 스택이라면 이다.

셋째 줄에 길이 의 수열 가 주어진다. 번 자료구조에 들어 있는 원소이다. (1 ≤ Bi)

넷째 줄에 삽입할 수열의 길이 이 주어진다. (1 ≤ M ≤)

다섯째 줄에 queuestack에 삽입할 원소를 담고 있는 길이 의 수열 가 주어진다. (1 ≤ Ci )

입력으로 주어지는 모든 수는 정수이다.

 

 

출력

수열 의 원소를 차례대로 queuestack에 삽입했을 때의 리턴값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.

 

예제 입력 1

4
0 1 1 0
1 2 3 4
3
2 4 7

예제 출력 1

4 1 2




 

 

각 상태에 대한 큐스택 내부를 표현하면 다음과 같다.

  • 초기 상태 : [1,2,3,4]
  • 첫 번째 원소 삽입 : [2,2,3,1]
  • 두 번째 원소 삽입 : [4,2,3,2]
  • 세 번째 원소 삽입 : [7,2,3,4]

 

예제 입력 2

5
1 1 1 1 1
1 2 3 4 5
3
1 3 5

예제 출력 2

1 3 5




 

 

풀이

 

B 수열의 각 한 자리마다 원소가 최대 1개인 큐 혹은 스택으로 이루어져 있다.

그리고 수열 C의 원소를 하나씩 queuestack 에 넣어가며 해당 B 수열의 자료구조에 따라 올바른 처리를 해야 한다.

 

이 때, 예제 1을 살펴보면 자료구조가 스택인 부분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.

왜냐하면 스택에 append 후 pop 한다면 당연히 가장 최근에 넣은 원소가 빠져나오기 때문이다.

따라서 스택인 부분을 제외하고 queue 자료구조인 부분만 살린 뒤 m의 길이에 맞게 잘 가공하여 출력해주도록 하자.

 

 
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
n = int(input())
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c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ans = [b[i] for i in range(n) if not a[i]*b[i]][::-1]
ans += [c[i] for i in range(m - len(ans))]
print(*ans[:m])

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