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오늘도 서준이는 병합 정렬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.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.
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가 저장된 배열 A가 있다. 병합 정렬로 배열 A를 오름차순 정렬할 경우 배열 A에 K 번째 저장되는 수를 구해서 우리 서준이를 도와주자.
크기가 N인 배열에 대한 병합 정렬 의사 코드는 다음과 같다.
merge_sort(A[p..r]) { # A[p..r]을 오름차순 정렬한다.
if (p < r) then {
q <- ⌊(p + r) / 2⌋; # q는 p, r의 중간 지점
merge_sort(A, p, q); # 전반부 정렬
merge_sort(A, q + 1, r); # 후반부 정렬
merge(A, p, q, r); # 병합
}
}
# A[p..q]와 A[q+1..r]을 병합하여 A[p..r]을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로 만든다.
# A[p..q]와 A[q+1..r]은 이미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다.
merge(A[], p, q, r) {
i <- p; j <- q + 1; t <- 1;
while (i ≤ q and j ≤ r) {
if (A[i] ≤ A[j])
then tmp[t++] <- A[i++]; # tmp[t] <- A[i]; t++; i++;
else tmp[t++] <- A[j++]; # tmp[t] <- A[j]; t++; j++;
}
while (i ≤ q) # 왼쪽 배열 부분이 남은 경우
tmp[t++] <- A[i++];
while (j ≤ r) # 오른쪽 배열 부분이 남은 경우
tmp[t++] <- A[j++];
i <- p; t <- 1;
while (i ≤ r) # 결과를 A[p..r]에 저장
A[i++] <- tmp[t++];
}
입력
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(5 ≤ N ≤ 500,000), 저장 횟수 K(1 ≤ K ≤ 108)가 주어진다.
다음 줄에 서로 다른 배열 A의 원소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(1 ≤ Ai ≤ 109)
출력
배열 A에 K 번째 저장 되는 수를 출력한다. 저장 횟수가 K 보다 작으면 -1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5 7
4 5 1 3 2 |
예제 출력 13
|
4 5 1 3 2 -> 4 5 1 3 2 -> 4 5 1 3 2 -> 1 5 1 3 2 -> 1 4 1 3 2 -> 1 4 5 3 2 -> 1 4 5 2 2 -> 1 4 5 2 3 -> 1 4 5 2 3 -> 1 2 5 2 3 -> 1 2 3 2 3 -> 1 2 3 4 3 -> 1 2 3 4 5. 총 12회 저장이 발생하고 일곱 번째 저장되는 수는 3이다.
예제 입력 25 13
4 5 1 3 2 |
예제 출력 2-1
|
저장 횟수 12가 K 보다 작으므로 -1을 출력한다.
풀이
병합 정렬을 구현한 뒤, 데이터의 이동 순서를 기록하는 로직을 추가한다.
병합 정렬이 끝나면 기록된 순서의 k번째에 해당하는 수를 출력한다.
필자는 merge_sort와 merge를 따로 분리하진 않았다.
주의할 것이 있는데, 문제에선 4 5 1 3 2 와 같이 홀수인 경우를 병합할 때 45 132 가 아닌 451 32와 같이 앞이 크도록 병합하기 때문에 가운데 기준을 맞춰주는 mid 변수에 1을 더해준 뒤 2로 나누도록 했다.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def merge_sort(L):
if len(L) == 1:
return L
mid = (len(L)+1)//2
left = merge_sort(L[:mid])
right = merge_sort(L[mid:])
i,j = 0,0
L2 = []
while i < len(left) and j < len(right):
if left[i] < right[j]:
L2.append(left[i])
ans.append(left[i])
i+=1
else:
L2.append(right[j])
ans.append(right[j])
j+=1
while i < len(left):
L2.append(left[i])
ans.append(left[i])
i+=1
while j < len(right):
L2.append(right[j])
ans.append(right[j])
j+=1
return L2
n, k = map(int,input().split())
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ans = []
merge_sort(a)
if len(ans) >= k:
print(ans[k-1])
else:
print(-1)
'알고리즘 연습 > 재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🥉5 / 백준 27433 / 파이썬] 팩토리얼 2 (0) | 2023.06.26 |
---|---|
[🥈3 / 백준 4779 / 파이썬] 칸토어 집합 (0) | 2023.06.21 |
[🥉2 / 백준 25501 / 파이썬] 재귀의 귀재 (0) | 2022.09.11 |
[🥉3 / 백준 14491 / 파이썬] 9진수 (0) | 2022.03.25 |
[🥈5 / 백준 17478 / 파이썬] 재귀함수가 뭔가요? (0) | 2022.02.06 |